Spring(41)
-
5. 스프링 MVC 구조 이해 (1) - 구조 비교
[목차] 직접 만든 MVC 프레임워크와 스프링 MVC의 구조 비교 1. 전체 구조 2. 스프링 코어와 스프링 MVC 구분3. 직접 MVC 프레임워크 개발 → 스프링 MVC 사용 (관점 전환) 4. Controller 개발 방식: 인터페이스 구현 vs 어노테이션 기반 1) 인터페이스 구현 컨트롤러2) 스프링 MVC의 어노테이션 기반 컨트롤러3) 어노테이션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4) 인터페이스 구현과 어노테이션 방식 비교 5. DispatcherServlet 구조 살펴보기 1) 스프링 MVC의 프론트 컨트롤러: DispatcherServlet2) 요청 흐름3) 스프링 MVC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 유연한 확장 가능6. HandlerAdapter 1) 기존과의 차이점2) Controller 인터페이스 사..
2025.04.29 -
4. MVC 프레임워크 만들기
[목차]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이란? Version 1. 프론트 컨트롤러 도입 Version 2. View 분리Version 3. Model 추가 Version 4. 단순하고 실용적인 컨트롤러 Version 5. 유연한 컨트롤러 (어댑터 도입)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이란?프론트 컨트롤러 서블릿 하나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음. 입구를 하나로!프론트 컨트롤러가 요청에 맞는 컨트롤러를 찾아서 호출앞에서 공통적인 처리가 가능프론트 컨트롤러를 제외한 나머지 컨트롤러는 서블릿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 즉, 컨트롤러가 서블릿 기술을 몰라도 작동할 수 있다. 스프링 웹 MVC의 DispatcherServlet이 FrontController 패턴으로 구현되어 있음 Version 1. 프론트 컨트롤러 도입 기존 구조를 최대한 ..
2025.04.24 -
3. 서블릿, JSP, MVC 패턴
[목차] 1. 회원 관리 웹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 2. 서블릿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3. JSP로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4. 서블릿과 JSP를 사용한 MVC 패턴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1) MVC 패턴이란? 2) 서블릿과 JSP를 활용한 MVC 패턴 적용 3) Redirect vs Forward 4) JSP에서 제공하는 편리한 문법들: EL, JSTL 5) MVC 패턴의 한계: 프론트 컨트롤러의 등장 1. 회원 관리 웹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기능 요구사항: 회원 저장, 회원 전체 목록 조회회원 정보: 이름, 나이 @Getter @Setterpublic class Member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int ag..
2025.04.22 -
2. 서블릿
[목차]1. 서블릿1) 서블릿 컨테이너 동작 방식2) 서블릿 클래스 기본 코드2. HTTP 요청/응답 메시지1) 시작 라인2) 헤더 3) 메시지 바디 3.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1) URL에 쿼리 파라미터 붙이기2) HTTP 요청 메시지의 메시지 바디에 담기4. HttpServletRequest 객체 다루기 1) 요청 시작 라인 조회2) 헤더 조회 3) HTTP 요청 데이터 조회5. HttpServletResponse 객체 다루기 1) 요청 시작 라인, 헤더 세팅 2) 메시지 바디 세팅 1. 서블릿 1) 서블릿 컨테이너 동작 방식 웹 브라우저에서 HTTP 요청 메시지가 전달됨-> 서버에서 HTTP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request, response 객체 생성 -> 서블릿 컨..
2025.04.21 -
1. 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2)
[목차]1.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1) HTTP 2)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차이2.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 HTTP 메시지 처리와 서블릿 컨테이너 1) 서버 컴퓨터 안에 있는 서버 프로그램들 생각해보기2) 서버에서 처리해야 하는 작업들3)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하는 일 4) 웹 요청, 응답 흐름 정리 3. 서블릿1) 서블릿이란? 2) 서블릿 클래스 코드 작성3) 서블릿 컨테이너의 서블릿 객체 관리4) 스프링 컨테이너와 서블릿 컨테이너 비교해서 이해하기 4. 동시 요청 - 멀티 쓰레드1) 쓰레드란?2) 쓰레드 풀3) WAS 튜닝의 핵심 - 최대 쓰레드 수 5. HTML, HTTP API, CSR, SSR1) 서버 →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데이터 종류2) HTTP API 방식 등..
2025.04.17 -
1. 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1)
[목차]1.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1) HTTP 2)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차이2.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 HTTP 메시지 처리와 서블릿 컨테이너 1) 서버 컴퓨터 안에 있는 서버 프로그램들 생각해보기2) 서버에서 처리해야 하는 작업들3)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하는 일 4) 웹 요청, 응답 흐름 정리 3. 서블릿1) 서블릿이란? 2) 서블릿 클래스 코드 작성3) 서블릿 컨테이너의 서블릿 객체 관리4) 스프링 컨테이너와 서블릿 컨테이너 비교해서 이해하기 4. 동시 요청 - 멀티 쓰레드1) 쓰레드란?2) 쓰레드 풀3) WAS 튜닝의 핵심 - 최대 쓰레드 수 5. HTML, HTTP API, CSR, SSR1) 서버 →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데이터 종류2) HTTP API 방식 등..
2025.04.17